크몽 수수료와 계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제는 부업의 시대라고 할 만큼 많은 분들이 직장 이외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데요. 그중 쉽게 접할 수 있는 플랫폼이 바로 크몽입니다. 크몽은 프리랜서들을 모아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프리랜서가 크몽 플랫폼을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면 수수료를 가져가는 방식으로 기업이 운영되고 있죠.
그럼, 수익이 발생하면 크몽에서 얼마나 수수료를 떼 가는 걸까요? 이런 수수료 관련 내용을 아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크몽 수수료
크몽에서 전문가로 활동하여 수익이 발생하면 수수료가 부과되는데요. 아래 표를 통해 수익 별로 수수료를 얼마나 부과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수익금 | 수수료 |
---|---|
1원 ~ 500,000원 | 15% |
500,001원 ~ 2,000,000원 | 8% |
2,000,001원 이상 | 3% |
표를 보시는 것처럼 크몽 플랫폼을 이용하여 발생한 수익이 1원부터 50만 원 이하일 경우 15%의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금액이 커질 수록 수수료는 줄어들게 되는데요. 2백 1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하면 3%의 수수료로 줄어들게 됩니다.
보통 크몽 전문가로 활동하다 보면 한 번에 50만 원 이상의 계약은 드물기 때문에 크몽의 수수료는 통상 15%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크몽 수수료에 관한 정보를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통해 공식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크몽 수수료 계산
표만 보면 수수료가 확 와닿지 않죠. 예시를 통해 대략 수수료가 얼마나 발생하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대략 30만 원의 계약이 체결되어 수익이 발생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30만 원은 15%의 수수료에 해당하므로 4만 5천 원의 수수료가 발생하죠.
그럼, 100만 원의 수익이라고 가정해 볼까요? 수수료는 8%에 해당하므로 8만 원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큰 계약이 성립되어 300만 원의 수익이 발생한다면 3%의 수수료인 9만 원이 부과되게 되죠.
예시 수익금 | 수수료 비용 |
---|---|
30만 원 | 4만 5천 원 (15%) |
100만 원 | 8만 원 (8%) |
300만 원 | 9만 원 (3%) |
예시를 통해 이해가 수수료의 비용이 더 확 와닿았나요? 얼핏 보면 수수료가 비싸 보이지만 크몽을 통해 고객을 유치할 수만 있다면 이 정도의 금액은 지불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 이런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고객을 유치하기란 정말 힘들기 때문이죠.
크몽 수수료 세금계산서
크몽은 위에서 알아본 판매 수수료에 대해서 세금계산서를 발행해 주고 있는데요. 구매가 확정된 계약에 대해서 매월 초 판매 수수료 세금계산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인이라면 실명 정보를 바탕으로 발행하며, 기업일 경우 기업 정보를 바탕으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 판매 수수료 세금계산서는 종합소득세 신고에 필요경비로 들어가기 때문에 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세금계산서에 대한 정보를 더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크몽 수수료를 알아보았습니다. 수익을 많이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수수료와 세금 등의 정보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계약 비용을 전략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크몽으로 부업을 시작하려는 분들은 이번 글을 통해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