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관련주 및 대장주 TOP5 (테마주 포함)

넷플릭스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넷플릭스는 전 세계적으로 드라마와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시청할 수 있는 구독형 스트리밍 서비스입니다. 이제는 TV 방송보다는 넷플릭스를 더 많이 시청하는 분들이 많죠. 그럼, 넷플릭스와 관련된 국내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

 


1. 콘텐트리중앙 (넷플릭스 대장주)

콘텐트리중앙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과 유통, 영화 제작, 투자, 배급을 담당하는 콘텐츠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또한 영화관과 키즈 실내 놀이터를 운영하는 공간사업도 운영하고 있죠. 현재 주요 콘텐츠로는 JTBC 드라마, 티빙의 피라미드 게임 등이 있습니다.

  • 콘텐트리중앙은 넷플릭스에 황야, 로기완 등 드라마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콘텐트리중앙이 넷플릭스 대장주인 이유

콘텐트리중앙은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유통하는 기업인데요. 넷플릭스와 계약을 통해 드라마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넷플릭스와 앞으로도 계약을 갱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이런 콘텐트리중앙을 넷플릭스 대장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콘텐트리중앙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1,871억 원 -301억 원 -491억 원
2024년 1분기 2,209억 원 -100억 원 -304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2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8%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6% 적자 폭이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손실이 37.9%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개선되었습니다.
  • 콘텐트리중앙의 최신 실적

 


2. 스튜디오드래곤 (넷플릭스 관련주)

 

스튜디오드래곤은 2016년 경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씨제이이앤엠의 드라마 사업본부가 물적 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입니다. 드라마를 포함한 스토리 기반 콘텐츠 제작과 부가 사업에 특화된 조직 구성 운영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죠.

  • 스튜디오드래곤의 최근 출시 작품은 눈물의 여왕, 내 남편과 결혼해 줘, 경성크리쳐, 세작 등이 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이 넷플릭스 관련주인 이유

스튜디오드래곤은 다양한 드라마를 제작하고 있는데요. 이런 드라마를 넷플릭스에서 방영시키고 있습니다. 과거 스위트홈 등 높은 시청률을 넷플릭스에서 기록한 이력이 있죠. 따라서 시장은 스튜디오드래곤을 넷플릭스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넷플릭스는 스튜디오드래곤의 지분 5%를 인수한 바 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2,111억 원 216억 원 183억 원
2024년 1분기 1,920억 원 215억 원 201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9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9%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0.4%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9.8%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증가했습니다.
  • 스튜디오드래곤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3. 키이스트 (넷플릭스 관련주)

키이스트는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 제작과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영상 콘텐츠 사업은 기획자, 작가, 감독 등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방송사와 OTT 플랫폼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에서는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키이스트는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하여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키이스트가 넷플릭스 관련주인 이유

키이스트는 드라마와 제작과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또한 제작된 드라마 등을 OTT 플랫폼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재 과거 넷플릭스에 드라마 사냥개들을 제공하여 TV쇼 부문 글로벌 1위를 달성한 바 있죠. 따라서 시장은 이런 키이스트를 넷플릭스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키이스트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192억 원 -4.3억 원 2.9억 원
2024년 1분기 253억 원 6.8억 원 -12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53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1.6%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흑자로 전환되었지만, 순이익은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은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악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 키이스트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4. CJ ENM (넷플릭스 관련주)

 

CJ ENM은 방송 채널과 OTT 플랫폼 운영, 콘텐츠 유통, 광고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tvN, Mnet, OCN 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케이블 및 IPTV를 통해 유료 방송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통합 미디어 광고 서비스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광고 분석과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죠.

  • CJ ENM의 영화 사업은 제작과 투자, 배급을 담당하고 있으며, 명량과 국제시장, 극한 직업, 기생충 등 흥행작을 통해 영화산업 성장을 주도해 왔습니다.

 

CJ ENM이 넷플릭스 관련주인 이유

CJ ENM은 드라마와 영화 사업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미디어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런 CJ ENM은 넷플릭스와 전략적 파트너쉽을 체결하여 작품을 제공하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이런 CJ ENM을 넷플릭스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CJ ENM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9,489억 원 -503억 원 -889억 원
2024년 1분기 1.1조 원 123억 원 -347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1조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1.6%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되었으며, 순이익 또한 손실이 60.8%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J ENM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5. 삼화네트웍스 (넷플릭스 테마주)

삼화네트웍스는 방송 드라마를 제작하여 지상파 방송사와 종편 채널, 방송채널사업자 및 국내외 OTT 등에 판매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지적재산권을 소유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사업을 전개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 삼화네트웍스는 국내 최초의 드라마 독립 제작사로 약 120편 이상의 드라마를 제작한 기업입니다.
  • 삼화네트웍스는 검증된 작가와 경쟁력 있은 PD와의 계약을 통해 드라마 제작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삼화네트웍스가 넷플릭스 테마주인 이유

삼화네트웍스는 드라마를 제작하는 기업입니다. 이런 제작된 드라마를 OTT 등에 판매하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삼화네트웍스를 넷플릭스 테마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삼화네트웍스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110억 원 -23억 원 -18억 원
2024년 1분기 187억 원 15억 원 16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87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70%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전년 대비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삼화네트웍스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넷플릭스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K드라마 열풍으로 넷플릭스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요. 따라서 우리 투자자들은 미리 넷플릭스와 관련된 국내 기업을 공부하여 투자 기회를 잡으시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영화 관련주 TOP5

니켈 관련주 TOP5

커피 관련주 TOP5

코코아 관련주 TOP5

 

주식바이킹 네이버 밴드 이미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