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박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동박은 리튬이온배터리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필요한 원자재인데요. 최근 전기 자동차 시장의 성장으로 배터리의 수요도 함께 증가했죠. 따라서 동박도 앞으로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그럼, 동박과 관련된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
1. 솔루스첨단소재 (동박 대장주)
솔루스첨단소재는 전지박과 첨단소재 두 가지 주요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전지박 부문에서는 해외 자회사를 통한 전지박, 동박의 개발과 판매 활동을 운영하고 있죠. 첨단소재 부문에서는 OLED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지박 사업은 2018년 헝가리에 유럽 최초의 전지박 생산 공장 설립을 통해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하였죠.
- 솔루스첨단소재는 PCB, 통신 장비, 전기 자동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동박, 전지박, 디스플레이 소재로 활용되는 OLED 제품군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솔루스첨단소재가 동박 대장주인 이유
솔루스첨단소재는 최근 북미에 있는 GPU 기업에 AI 가속기용 동박 승인을 받은 바 있는데요. 또한 솔루스첨단소재가 생산하는 동박이 글로벌 기업에 높은 품질로 인정받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솔루스첨단소재를 동박 대장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솔루스첨단소재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 4,182억 원 | -496억 원 | -472억 원 |
2023년 | 4,294억 원 | -732억 원 | 1,267억 원 |
- 2023년 전체 매출액은 총 4,294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6%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47%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이익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SKC (동박 관련주)
SKC는 산업 분야에 필수적인 소재와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인데요. 주요 사업으로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IT 기기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핵심 전지박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차전지 소재 사업, 화학 제품인 PO의 생산과 판매를 하는 화학 사업, 반도체 소재 및 부품 사업도 운영하고 있죠.
- 전지박은 음극집전체로서 이차전지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SKC가 동박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SKC는 독일의 배터리 제조사 바르타에 동박을 단독으로 공급할 정도로 기술력과 생산력이 인정된 기업입니다. 2020년에는 동박 제조사 KCFT를 인수하여 동박 사업을 확장했죠. 이러한 이유로 시장은 SKC를 동박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SKC는 동박 전문 기업인 SK넥실리스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SKC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 2.38조 원 | 1,861억 원 | -246억 원 |
2023년 | 1.57조 원 | -2,163억 원 | -3,263억 원 |
- 2023년 전체 매출액은 총 1.57조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4%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적자로 전환되었으며, 순이익 또한 1,224%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악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3. 고려아연 (동박 관련주)
고려아연은 주로 아연과 연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비철금속제련 기업입니다. 특히 금과 은, 동, 황산 등 유가금속과 부산물을 아연, 연의 제련 과정에서 얻고 있죠. 고려아연은 총 74개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함께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런 고려아연은 자원순환 사업과 신재생에너지, 수소 개발, 이차전지 소재 개발 등의 사업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 고려아연의 비철금속 수출입업을 담당하고 있는 자회사는 서린상사, KZ Minerals Holdings 등이 있습니다.
고려아연이 동박 관련주인 이유
고려아연은 2024년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에 참가하여 이차전지 소재와 사업에 대한 비전을 설명한 바 있는데요. 최근 이런 고려아연은 동박 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죠. 2023년에는 연간 최대 12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확보할 정도니까요. 따라서 시장은 고려아연을 동박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고려아연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 11조 원 | 9,191억 원 | 7,982억 원 |
2023년 | 9.7조 원 | 6,599억 원 | 5,333억 원 |
- 2023년 전체 매출액은 총 9.7조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3%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8%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33%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했습니다.
4. 피엔티 (동박 관련주)
피엔티는 롤투롤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 자동차와 ESS, 모바일 기기 등에 필수적인 소재를 제조하는 기업인데요. 또한 전지박, 광학필름, OCA 필름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특수 필름을 생산하는 장비를 제고하고 있죠. 피엔티의 롤투롤 공정은 소정의 물질을 모재에 도포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첨단 기술입니다.
- 피엔티의 롤투롤 기술은 국내에서 해당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피엔티가 동박 관련주인 이유
피엔티는 동박을 생산하는 장비를 판매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동박의 수요 증가는 피엔티 제품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은 피엔티를 동박 관련주로 함께 분류하고 있죠.
피엔티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 4,178억 원 | 777억 원 | 596억 원 |
2023년 | 5,454억 원 | 769억 원 | 684억 원 |
- 2023년 전체 매출액은 총 5,4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1%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14.7%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5. 태성 (동박 테마주)
태성은 PCB 자동화 생산에 필수적인 습식설비의 전문 제조 기업입니다. 이런 태성은 PCB 제작에 꼭 필요한 습식 설비뿐만 아니라, 기타 산업 분야에 필요한 설비까지 다양하게 생산하고 있죠. 또한 PCB 외주 생산 서비스와 세라믹 브러시와 같은 PCB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제품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태성의 주력 제품으로는 식각 설비, 진공장치, 이류체분사장치 등이 있으며,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특허도 출시한 바 있습니다.
- 태성은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등 다양한 기업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태성이 동박 테마주로 분류된 이유
태성은 동도금 공정 장비를 개발한 바 있는데요. 이는 이차전지의 동박 제조에 활용되고 있죠. 전기 자동차 시장 성장에 발맞춰 태성은 이차전지 동박과 카메라 부품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태성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 612억 원 | 23억 원 | -4.5억 원 |
2023년 | 333억 원 | -6.8억 원 | -14억 원 |
- 2023년 매출액은 총 3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5.5%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적자로 전환되었으며, 순이익은 209%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이익과 매출이 악화하였습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동박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동박은 PCB, 이차전지 등 꼭 필요한 원자재입니다. 물론 원자재 특성상 경제 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지만 앞으로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따라서 우리 투자자들은 미리 동박과 관련된 기업을 공부하여 투자 기회를 잡으시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