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관련주 및 대장주 TOP5 (테마주 포함)

저출산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출산 문제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 출산 관련 정책을 많이 출시하고 있죠. 따라서 아동 관련 기업들도 주목받는 상황입니다. 그럼, 저출산 관련 기업 5종목을 자세하게 살펴볼까요?

 


1. 아가방컴퍼니 (저출산 대장주)

아가방컴퍼니는 유아용 의류와 완구류를 전문적으로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본사는 서울 역삼동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천시에 물류 시설이 위치하고 있죠. 또한 해외 시장의 진출을 위해 미국과 중국에 현지 판매 법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아가방컴퍼니의 주요 브랜드로 아가방, 디어베이비 에뜨, 퓨토 등이 있습니다.

 

아가방컴퍼니가 저출산 대장주인 이유

아가방컴퍼니는 유아용 의류를 판매하는 기업인데요. 정부에서 저출산 정책으로 지원금이 지급되면 아동 의류의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죠.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시장은 아가방컴퍼니를 저출산 대장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아가방컴퍼니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1,235억 원 92억 원 68억 원
2023년 3분기 1,333억 원 110억 원 80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3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7.8%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19.2% 증가했으며, 순이익 또한 16.6%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전년 대비 크게 향상된 것으로 보입니다.

 


2. 메디앙스 (저출산 관련주)

 

메디앙스는 유아용 스킨케어와 수유용품, 유아 의류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그중 스킨케어와 수유용품이 매출의 83%를 차지하고 있죠. 또한 메디앙스는 해외 시장 확장도 중요하게 생각하여 중국에 법인을 설립한 이력도 있습니다.

  • 메디앙스는 더퓨어, UPIS 등 다양한 주요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특히 2001년 프리미엄 유아 패션 브랜드 타티네 소콜라 및 뮤아는 국내 최초로 발매된 바 있습니다.

 

메디앙스가 저출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메디앙스는 유아용 스킨케어와 수유용품이 매출의 83%를 차지할 만큼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사업입니다. 정부의 이런 저출산 지원 정책은 메디앙스 매출의 큰 도움이 되므로 시장은 저출산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메디앙스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495억 원 -6.8억 원 -94억 원
2023년 3분기 479억 원 -22억 원 29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4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6.8%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적자 폭이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악화되었지만, 순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삼성출판사 (저출산 관련주)

삼성출판사는 출판과 휴게소, 부동산 임대 등으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주력 사업으로 유아동 교육 출판물 제작을 하고 있죠. 대표적인 상품으로 마이리틀타이거, 삼성영어교재 등이 있습니다. 휴게소 사업은 이천쌀휴게소를 운영했으나 2023년 말에 영업이 종료될 예정입니다.

  • 삼성출판사의 제품은 모두 외주 제작을 통해 생산되고 있습니다.

 

삼성출판사가 저출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삼성출판사는 아기상어 제작사인 더핑크퐁컴퍼니의 2대 주주로 자리하고 있는데요. 아기상어는 아이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입니다. 따라서 저출산 정책이 활성화되면서 아이들이 증가하면 상섬출판사 역시 수혜를 받을 거로 생각합니다.

  • 삼성출판사는 유아동 교육 출판물을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은 저출산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삼성출판사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377억 원 -9.9억 원 130억 원
2023년 3분기 364억 원 -6.4억 원 63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3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2%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적자 폭이 35% 감소했습니다.
  • 순이익은 전년 대비 약 51% 감소했습니다.
  • 기업의 매출과 순이익은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4. 제로투세븐 (저출산 관련주)

 

제로투세븐은 설립 초기에 임신과 출산, 육아 분야에서 CRM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업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는 아동 스킨케어 및 POE 제조와 판매를 핵심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죠. 이런 제로투세븐의 사업은 크게 궁중비책과 포장 사업으로 나눠지고 있습니다.

  • 궁중비책이라는 유아동 스킨케어 브랜드를 판매하고 포장 사업으로 분유와 분말식품 상단에 쓰이는 POE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제로투세븐이 저출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제로투세븐은 과거 임신 출산 관련해서 고객관리 서비스를 한 이력이 있고 현재는 아동 스킨케어와 포장지를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용품 시장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따라서 저출산 관련 정책으로 수혜를 받을 거로 시장은 생각하고 있죠.

 

제로투세븐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665억 원 73억 원 75억 원
2023년 3분기 529억 원 33억 원 25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5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0.5%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5%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29%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수익성이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5. 캐리소프트 (저출산 테마주)

캐리소프트는 어린이와 가족을 대상으로 방송, 애니메이션, 음악, 공연 등을 제작하는 기업입니다. 대표적으로 캐리와 친구들, 우주에서 온 콜라, 캐리와 슈퍼걸스 등 다양한 캐릭터와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죠. 이러한 브랜드를 바탕으로 유아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낸 기업입니다.

  • 캐리소프트는 콘텐츠 제작과 메타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세계 시장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캐리소프트가 저출산 테마주로 분류된 이유

캐리소프트는 지금까지 유아 시장에서 다양한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기업인데요. 만약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캐리소프트의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시장도 캐리소프트를 저출산 테마주로 분류하고 있죠.

 

캐리소프트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73억 원 -14억 원 1,522만 원
2023년 3분기 69억 원 -22억 원 -34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6%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적자 폭이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저출산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출산율은 전 세계에서 최하위권에 머물 정도로 정말 심각한 문제입니다.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잘 적용되어 출산율과 관련 기업들의 실적도 함께 상승하길 바랍니다. 여러분들도 투자를 통해 우리나라 출산율에 관심을 가지시고 힘써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및 금리

틱톡샵 관련주 TOP5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