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기는 앞으로 전기차 시장이 활발해지면서 크게 확장될 사업입니다. 따라서 미리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를 파악한다면 투자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대유플러스, 원익피앤이, 모트렉스, 솔루엠, 에스트래픽 기업의 제품과 실적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유플러스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
대유플러스 기업 분석
대유플러스는 다양한 사업 부문을 통해 전반적인 기술 및 제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 대유플러스의 에너지사업 부문에서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와 관련된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 SK시그넷과 계약을 맺고 전기차 충전기를 생산할 계획을 하고 있으며, 카본소재를 활용한 신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음.
대유플러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사업 | 품목 | 용도 | 비율 |
---|---|---|---|
에너지사업 | EPC/SPC | 태양광발전소시공 및 발전 | 63.16% |
기타 | 전기차 충전기, DC카본매트 등 | 36.84% |
- 태양광 발전소 시공 및 발전이 에너지사업 부문의 대부분 매출을 차지하고 있음.
- 태양광 발전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분야에서 중요한 영역이므로 성장 가능성이 높아 보임.
- 전기차 충전기와 DC카본매트 등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충전기 매출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음.
대유플러스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2021 | 4,645억 원 | 79억 원 | 19억 원 |
2022 | 5,366억 원 | 222억 원 | -242억 원 |
- 2022년도 총매출액은 5,366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15.5% 증가함.
- 전년도 대비 영업이익은 181% 증가했지만, 당기순이익은 흑자에서 적자로 감소함.
-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증가하는 추세로 보이지만, 당기순이익이 큰 폭의 손실을 보이고 있음. 이는 기타 비용의 급격한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보임.
대유플러스가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대유플러스는 SK시그넷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고 전기차 충전기 제조와 관련된 사업을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하였습니다.
- 2022년에는 자사브랜드 전기차 완속 충전기를 개발하였음.
- SK시그넷 자동차 완속 충전기 ODM 계약 체결에 따른 개발 완료.
기업 분석을 바탕으로 RSI, MACD 등의 기술적 분석도 함께 적용한다면 투자 성공 확률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을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2. 원익피앤이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
원익피앤이 기업 분석
원익피앤이는 2차 전지 제조의 전 과정에 필요한 고급 기술과 장비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 원익피앤이는 전기차 완속 및 급속 충전기를 국내외에 수출하고 있음.
- 다양한 배터리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조립 공정 장비를 자회사인 테크랜드와 협력하여 제작하고 있음.
원익피앤이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사업 | 제품 | 비율 |
---|---|---|
2차 전지 장비 | 2차 전지 장비 | 88.1% |
전원공급장치 | 발전소용 및 산업용 정류기 | 5.1% |
충전인프라 | 전기차용 충전기 | 4.2% |
기타 | 필름재단 | 2.6% |
- 원익피앤이의 핵심 사업은 2차 전지 장비 사업으로 2차 전지 및 EDLC의 활성화와 수명 검사 등에 사용됨.
- 전원공급장치 사업은 PCR과 정류기 등을 포함해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제품을 생산.
- 충전인프라 사업은 전기차 배터리 충전 등을 주로 다루고 있음.
원익피앤이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2021 | 1,764억 원 | 149억 원 | 194억 원 |
2022 | 2,888억 원 | 39억 원 | 3,037만 원 |
- 2022년 총매출액은 2,888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9.97% 증가함.
- 영업이익은 전년도 대비 73.6% 감소하였으며 당기순이익 또한 99.84% 감소함.
- 총매출은 증가했지만, 비용과 지출도 동시에 증가하면서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함. 이러한 현상은 신규 투자나 사업 확장, 비용 구조의 변화 등이 원인일 수 있음.
원익피앤이가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원익피앤이는 충전인프라를 주요 사업 중 하나로 하고 있으며, 전기차 충전기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차의 확산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원익피앤이를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하였습니다.
- 전기차 배터리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2차 전지 제조 공정 장비도 함께 제작하고 있어 전기차 충전기 사업과 연계성이 있음.
-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충전 인프라는 필수적이며, 원익피앤이가 그런 인프라를 제공한다면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직접적으로 연관됨.
3. 모트렉스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
모트렉스 기업 분석
모트렉스는 자동차와 사용자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 스티어링휠 컨트롤 등의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 2022년에는 전기차 충전기 개발에도 진출하여 액탑 기업에 투자를 진행하고 사명을 모트렉스이브이로 변경.
-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유럽 시장에도 발을 딛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법인을 설립.
모트렉스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제품 | 설명 |
---|---|
차량용 인터페이스 | Apple Car Play 및 Google Android Auto 연결 가능 |
차량용 오디오 | 차량용 오디오 제품 |
탑승자용 디스플레이 | 탑승자용 디스플레이 장치 |
- 차량용 인터페이스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Apple Car Play 및 Google Android Auto에도 연결 가능(멕시코, 호주 등 글로벌 37개 국가에서 판매).
- 차량용 오디오 제품을 판매함(멕시코 등 글로벌 3개 국가에서 판매).
- 탑승자용 디스플레이는 VOD 콘텐츠, 위성 TV, 네이게이션 정보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
모트렉스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2021 | 4,367억 원 | 353억 원 | 115억 원 |
2022 | 5,685억 원 | 588억 원 | 384억 원 |
- 2022년 총매출액은 5,68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2% 상승함.
- 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66.6%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 또한 233% 증가함.
- 전반적으로 회사의 성과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급격한 증가가 눈에 띄는 부분임.
모트렉스가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모트렉스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인 액탑에 신규 투자를 하였고, 사명을 모트렉스이브이로 변경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진출하거나 기존 사업을 확장하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하였습니다.
4. 솔루엠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
솔루엠 기업 분석
솔루엠은 전자기기 부품의 연구개발과 제조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 베트남, 멕시코, 인도 등 해외에도 종속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전자부품 사업부에서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을 생산하고 있음.
솔루엠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사업 | 제품 | 비율 |
---|---|---|
전자부품 | 파워모듈 (전기차 충전기용, TV용 SMPS, 아답터 등) | 77.72% |
ICT | ESL, IoT 제품, CE-WiFi | 22.28% |
- 전자부품 사업부에서는 주로 TV용 파워모듈과 전기차 충전기용 등을 제조하고 판매함.
- ICT 사업부는 ESL IoT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솔루엠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2021 | 1.15조 원 | 265억 원 | 133억 원 |
2022 | 1.69조 원 | 756억 원 | 454억 원 |
- 2022년 총매출액은 1.69조 원으로 전년 대비 46.9% 증가함.
- 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185.1%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 또한 241.2% 증가함.
- 종합적으로 2022년 성과는 전년도에 비해 상당히 긍정적임.
-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큰 폭의 증가를 보이고 있음. 특히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두드러짐.
솔루엠이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솔루엠 제품 포트폴리오 중에 파워모듈이 전기차 충전기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하였습니다.
-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파워모듈은 전기차 충전기의 핵심 부품 중 하나임.
5. 에스트래픽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
에스트래픽 기업 분석
에스트래픽은 교통 관련 사업이 핵심이며 주로 도로와 철도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배출 감축을 목표로 2017년부터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2년에는 에스에스차저 주식회사라는 분할 신설 법인을 설립함.
에스트래픽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구분 | 사업 |
---|---|
도로 | 요금징수시스템, 지능형교통시스템, 전기차충전인프라 |
철도 | 철도신호, 철도통신 |
신규 | 교통카드사업, VPSD, 공항사업 |
- 도로 부문에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고속도로 요금 징수 시스템(TCS), 하이패스 시스템을 통한 전자적 요금 징수(ETCS), 더 높은 효율성을 위한 도로 요금 징수 시스템(Smart Tolling) 등을 판매함.
- 2021년 말 기준으로 다수의 공공 충전 시설과 완속 충전 인프라를 구축함.
- 철도 부문은 열차의 최적 운행을 도와주는 시스템과 LTE-R을 이용한 철도 무선통신시스템 서비스를 판매함.
- 교통카드 사업과 상하 스크린도어를 활용한 열차 정차 시스템(VPSD)의 신규 사업을 운영 중
에스트래픽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2021 | 1,276억 원 | 36억 원 | -85억 원 |
2022 | 1,320억 원 | 95억 원 | 323억 원 |
- 2022년 총매출액은 1,3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함.
- 영업이익은 저년 대비 162.6%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됨.
- 수익이 증가하고 매출원가는 감소했으므로 효율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임.
- 영업이익의 큰 증가는 경영 성과가 좋아졌음을 의미함.
- 2022년에는 중단영업손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일부 사업을 매각하거나 정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에스트래픽이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에스트래픽이 2017년부터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을 시작했다는 점은 기업이 해당 분야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 관련주로 분류하였습니다.
- 에스에스차저 주식회사라는 분할 신설 법인을 2022년에 설립한 것은 이 사업 분야에 대한 기업의 의지와 전략을 보여줌.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이 기업이 해당 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함.
- 이미 교통 관련 사업을 핵심으로 하고 있으므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로 볼 수 있음.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주식바이킹 네이버 밴드 가입하여 알림 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