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관련주 및 대장주 TOP5 (테마주 포함)

챗GPT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과장해서 세상은 챗GPT 등장의 전과 후로 나뉠 정도로 정말 파급력 높은 AI 플랫폼인데요. 저도 사용해 보았지만 정말 편리하고 대단한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챗GPT를 바탕으로 많은 AI 플랫폼이 생겨나고 있죠.

그럼, 국내에 챗GPT와 관련된 기업들이 있을까요? 이번 글을 통해 해당 챗GPT와 관련된 기업 5종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트나인 (챗GPT 대장주)

비트나인은 국내 유일하게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업입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4차 산업 시장에서 필수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비트나인은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금융, 공공, 제조, IT 등 다양한 산업에서 50개 이상의 납품 실적을 보유하고 있죠.

  • 비트나인은 국내뿐만 아니라 인텔, 버라이즌, 에릭슨, 캐나다 국방부 등에 대한 활동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비트나인이 챗GPT 대장주로 분류된 이유

비트나인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전문 기업으로 최근 챗GPT를 활용한 아젠스데스크를 출시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시장에서 챗GPT 대장주로 분류되고 있죠. 아젠스데스크는 사용 제품 관련해서 문의하면 대화 방식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아젠스데스크는 비트나인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트나인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135억 원 16억 원 12억 원
2023년 3분기 198억 원 -79억 원 -115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98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6%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 대비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기업의 매출은 증가했지만, 이익 측면에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2. 솔트룩스 (챗GPT 관련주)

 

솔트룩스는 클라우드 기반 IT 시스템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현재 솔트룩스 10년간 축적해 온 대규모 언어 및 음성데이터를 바탕으로 초거대 언어 모델을 개발하고 있죠.

  • 솔트룩스의 기술은 생성 AI, AI 상담비서, 가상 인간 등 다양한 AI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솔트룩스가 챗GPT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솔트룩스는 2023년에 한국판 챗GPT라고 평가받는 루시아를 최초로 공개했는데요. 루시아는 챗GPT 수준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거대 언어모델로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받은 바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은 솔트룩스를 챗GPT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솔트룩스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164억 원 -51억 원 -36억 원
2023년 3분기 138억 원 -114억 원 -112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38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6%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21%의 손실 폭이 증가했으며, 순이익 또한 손실 폭이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수익성이 전년 대비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유엔젤 (챗GPT 관련주)

유엔젤은 소프트웨어 전문 개발 기업인데요. 국내외 통신사업자에게 통신서비스 핵심망 솔루션과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유아교육 콘텐츠와 솔루션을 자체 브랜드로 운영하는 유아교육 서비스 기업이기도 하죠.

  • 유엔젤은 5G 이동통신 시장에서 적극적인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유엔젤이 챗GPT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유엔젤은 무선인터넷 및 핵심망 공급업체로 자리하고 있는데요. 최근 국내 통신사들이 챗GPT를 활용한 개발과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소식에 유엔젤도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유엔젤을 시장에서 챗GPT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유엔젤 매출 및 서비스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197억 원 11억 원 4.6억 원
2023년 3분기 246억 원 26억 원 2,212만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4.8%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무려 134%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95% 감소했습니다.
  • 순이익의 감소는 높아진 원가와 판매 및 관리비가 원인으로 보입니다.

 


4. 오브젠 (챗GPT 관련주)

 

오브젠은 고객의 데이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마케팅 기획부터 실행 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자동화하고 있는데요. 이를 위해 대량의 빅데이터 처리와 AI 알고리즘 개발에 주력하고 있죠.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마케팅 솔루션과 고객에게 필요한 모든 과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오브젠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 시장에서 AI 마케팅 분야의 기술력을 성장시켰습니다.

 

오브젠이 챗GPT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오브젠은 AI 마케팅 전문 기업으로 네이버클라우드가 2대 주주로 자리하고 있는데요. 과거 네이버판 챗GPT 클로바X가 출시되면서 오브젠 또한 크게 주목받은 이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은 오브젠을 챗GPT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오브젠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192억 원 192억 원 6,339만 원
2023년 3분기 126억 원 126억 원 -48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4% 감소했습니다.
  • 순이익은 전년 대비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5. 에스넷 (챗GPT 테마주)

에스넷은 ICT 인프라 전문 기업으로 시스템 통합 구축과 네트워크 통합 구축 컨설팅을 주력 사업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이런 에스넷은 미국 포스코를 포함한 여러 네트워크 관련 장비 제조업체들과 협력하여 필요한 장비를 안정적으로 구매하고 있죠.

  • 에스넷은 사물 인터넷과 가상화 기반 무선통신, AI, 메타버스를 ICT와 함께 융합하는 미래형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에스넷이 챗GPT 테마주로 분류된 이유

에스넷의 자회사 굿어스데이터는 네이버클라우드로부터 투자를 유치 받은 이력이 있는데요. 이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 MSP 도입, 설계, 구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에스넷을 챗GPT 테마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에스넷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2년 3분기 2,035억 원 -61억 원 -42억 원
2023년 3분기 2,795억 원 13억 원 16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7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7%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 대비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기업의 매출과 전체적인 이익이 크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챗GPT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챗GPT의 등장으로 AI 시대가 더 가속화된 것 같은데요. 앞으로 이런 기술력이 얼마나 더 발전하게 될지 기대가 됩니다. 우리 투자자들은 이러한 기술 발전에 관심을 가지시고 투자 기회를 보아야겠죠? 여러분들이 이번 글을 통해 조금이나마 투자에 대한 시야가 넓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자율주행 관련주 TOP5

칩렛 관련주 TOP4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