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각 기업마다 정해진 온실가스 배출량이 있는데요. 이러한 온실가스 배출 권리를 사고파는 것을 탄소배출권이라고 합니다. 그럼, 이러한 탄소배출권으로 이익을 보고 있는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 아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에코바이오 (탄소배출권 대장주)
에코바이오는 ESG 전문 기업으로 매립지,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설 및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술을 통해 전기, 가스, 수소뿐만 아니라 바이오황 관련 사업도 추진하고 있죠. 이렇게 에코바이오는 친환경적인 미래 에너지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에코바이오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서울시 강서구에 수소충전소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습니다.
에코바이오가 탄소배출권 대장주인 이유
에코바이오는 쓰레기 매립지를 발전소로 변환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있는데요. 또한 이를 통해 얻은 탄소배출권을 판매하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에코바이오를 탄소배출권 대장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에코바이오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120억 원 | -3.6억 원 | -5.6억 원 |
2023년 3분기 | 120억 원 | -13억 원 | -15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0.6% 상승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273% 증가했으며, 순이익 또한 180% 증가했습니다.
- 기업의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이익은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2. 후성 (탄소배출권 관련주)
후성은 국내 유일하게 불소 화합물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또한 이차전지 전해질과 반도체용 특수가스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죠. 후성의 주요 제품으로 냉매, 이차전지 소재, 무기 불화물, 반도체 특수가스 등이 있습니다. 후성은 이러한 기술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후성의 주요 고객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있습니다.
후성이 탄소배출권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후성은 최초 국내에서 탄소배출권으로 매출을 올린 기업인데요. 연간 220만여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이력도 있죠. 따라서 시장은 후성을 탄소배출권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과거 2009년에는 유럽과 캐나다에 탄소배출권을 매각하여 이익을 얻은 바 있습니다.
후성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4,614억 원 | 1,078억 원 | 903억 원 |
2023년 3분기 | 4,171억 원 | -270억 원 | -288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4,1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9.6%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전년 대비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악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에코프로에이치엔 (탄소배출권 관련주)
에코프로에이치엔은 국내 유일하게 친환경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주력 사업으로는 클린룸 케미컬 필터,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을 바탕으로 환경산업 전반에 걸친 연구개발을 지속해서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탄소배출권 사업인 SDM사업, 이차전지 개발 분야로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에코프로에이치엔은 Hybrid형 VOCs 제거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한 바 있습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이 탄소배출권 관련주인 이유
에코프로에이치엔은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등 다양한 친환경적인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배출권 사업도 운영하고 있으므로 시장은 에코프로에이치엔을 탄소배출권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 이처럼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탄소배출권 정책에 수혜를 받을 것으로 시장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1,288억 원 | 215억 원 | 174억 원 |
2023년 3분기 | 1,813억 원 | 346억 원 | 278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813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60% 증가했으며, 순이익 또한 59.8%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4. 태경비케이 (탄소배출권 관련주)
태경비케이는 액체탄산, 드라이아이스, 수산화마그네슘, 액상 소석회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해당 제품들은 탄산음료 제조, 조선 용접과 냉매제, 산화방지제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고 있죠. 또한 에틸렌, 질소, 산소와 같은 일반가스도 공급하고 있습니다.
- 태경비케이가 생산하는 수산화마그네슘과 액상 소석회는 배연탈황제와 폐수처리 정화제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태경비케이가 탄소배출권 관련주인 이유
태경비케이는 최근 현대오일뱅크와 탄소 포집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태경비케이의 제품이 산성 성분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은 태경비케이를 탄소배출권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태경비케이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2,694억 원 | 250억 원 | 211억 원 |
2023년 3분기 | 2,267억 원 | 313억 원 | 278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267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5.8%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25.9% 증가했으며, 순이익 또한 31% 증가했습니다.
- 기업의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5. 한솔홈데코 (탄소배출권 테마주)
한솔홈데코는 목재, 열병합발전, 조림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이 중 목재 사업이 주력이며 매출액의 98%를 차지하고 있죠. 해당 제품들은 주로 국내 대리점, 건설사, 가구사에 판매되고 있으며 수출은 매출의 0.2% 정도만 진행되고 있습니다. 즉, 대부분의 판매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솔홈데코가 탄소배출권 테마주인 이유
한솔홈데코는 뉴질랜드 조림 사업에 진출한 이력이 있는데요. 이를 통해 한솔홈데코는 탄소배출권을 확보하였죠. 이러한 이유로 시장은 한솔홈데코를 탄소배출권 테마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한솔홈데코는 폐목재 스팀 활용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사업 등록을 인증받은 바 있습니다.
한솔홈데코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2,152억 원 | 48억 원 | 2.3억 원 |
2023년 3분기 | 2,172억 원 | -36억 원 | -67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1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0.9%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전년 대비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기업의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이익은 악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탄소배출권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친환경 정책이 활성화되면서 탄소배출권으로 이익을 보는 기업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미국의 테슬라 또한 탄소배출권으로 매출을 끌어올린 이력이 있죠. 이처럼 탄소배출권 또한 하나의 사업으로 보면 투자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