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스텐 관련주 및 대장주 TOP5 총정리 (테마주 포함)

텅스텐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AI 열풍이 불고 있는데요. 텅스텐은 이런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아주 중요한 소재입니다. 따라서 텅스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죠. 그럼, 텅스텐과 관련된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

 


1. 티플랙스 (텅스텐 대장주)

티플랙스는 스테인리스 소재 가공과 제조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세아창원특수강에서 스테인리스 봉강과 와이어로드와 같은 원재료를 조달받고 있죠. 또한 포스코로부터 코일 등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기계와 플랜트, 반도체 등 다양한 부품 소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티플렉스는 티타늄과 니켈합급과 같은 특수금속 소재 사업에도 진출하였습니다.

 

티플랙스가 텅스텐 대장주인 이유

티플랙스는 주로 스테인리스 소재를 가공하고 판매하는 기업인데요. 더불어 특수금속 소재 사업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업에서는 티타늄과 니켈, 텅스텐 등 다양한 특수금속을 유통하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이런 티플랙스를 텅스텐 대장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티플랙스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668억 원 1.3억 원 -1.5억 원
2024년 1분기 530억 원 2억 원 -2.6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5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0.6%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0%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했습니다.
  • 티플랙스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2. STX (텅스텐 관련주)

 

STX는 철광과 비철금속 원자재를 수출입하고 에너지 사업과 기계, 엔진 등의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또한 신소재와 수소 발전을 포함한 친환경 에너지 분야로의 역할을 확대하여 에너지 물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죠. 이런 STX는 종속 기업들과 무역, 제조업, 리조트 운영 등 사업 부문을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STX는 무역업과 항공정비 사업, 물류업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STX가 텅스텐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STX는 철광과 비철금속 원자재를 수출입 하는 기업인데요. 이런 STX는 몽골에서 리튬과 텅스텐 등의 금속 개발을 진행한다는 소식에 주목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은 이런 STX를 텅스텐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 STX는 몽골 리튬 광산 운영사인 아르비지히 차히올과 광산 개발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습니다.

 

STX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2,419억 원 -26억 원 -21억 원
2024년 1분기 1,777억 원 -11억 원 -68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777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6.5%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56.9%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222%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악화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STX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3. 후성 (텅스텐 관련주)

후성은 불소화학 기술과 공정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최고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이런 후성은 냉매, 이차전지 소재, 무기 불화물, 반도체 특수가스 등 다양한 화학소재 제품을 공급하고 있죠. 해당 제품들은 삼성전자 등 국내외 주요 가전사, 반도체 생산 업체 등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 후성은 2022년 화공 기기 설계 능력과 비철류 재질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춘 한텍 기업을 종속회사로 편입한 바 있습니다.

 

후성이 텅스텐 관련주인 이유

후성은 반도체 금속 배선 공정에서 필요한 육불화텅스텐을 생산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AI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여 텅스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 함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시장은 후성을 텅스텐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후성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1,532억 원 -174억 원 -131억 원
2024년 1분기 1,085억 원 -94억 원 -91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08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9.1%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6%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30.5%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은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증가했습니다.
  • 후성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4. CBI (텅스텐 관련주)

 

CBI는 자동차 부품과 주물제조업을 목적으로 1978년에 설립된 기업입니다. 주로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죠. 또한 3개의 종속회사를 두고 있으며, 자동차 엔진, 엔진 연소실 개폐장치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CBI가 텅스텐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CBI는 최근 쌍전광산을 개발한다는 소식에 주목받고 있는데요. 해당 광산에는 텅스턴 200만 톤 이상이 매장되어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은 이런 CBI를 텅스텐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CBI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90억 원 -2.0억 원 -20억 원
2024년 1분기 67억 원 2.9억 원 -28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67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6.1%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흑자로 전환되었지만, 순이익은 적자가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BI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5. 미래나노텍 (텅스텐 테마주)

미래나노텍은 한국 본사를 중심으로 총 10개의 계열사를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주로 이차전지와 IT, 디스플레이 소재를 운영하고 있죠. 주요 사업으로는 양극재 소재, LCD 광학필름, EMI 필터, 터치패널, 윈도우필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업 사업도 운영하고 있으며,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 및 융자, 기술 지도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미래나노텍은 SMT 사업도 운영하며,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 하여 스마트폰과 무선통신 기기 등의 사용되는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래나노텍이 텅스텐 테마주인 이유

미래나도텍은 과거 2022년 제앤케이 기업의 지분 85%를 인수한 바 있는데요. 해당 제앤케이 기업은 수산화리튬과 텅스텐, 지르코늄을 나도 단위로 분쇄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에 제공하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미래나노텍을 텅스텐 테마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미래나노텍의 매출 및 실적

년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2023년 1분기 1,593억 원 25억 원 12억 원
2024년 1분기 1,521억 원 63억 원 16억 원
  • 2024년 1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521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4.5%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147% 증가했으며, 순이익 또한 30%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은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개선되었습니다.
  • 미래나노텍의 최신 실적 알아보기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텅스텐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AI 산업의 발전으로 관련 반도체 또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핵심 소재인 텅스텐도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우리 투자자들은 텅스텐과 관련된 기업을 미리 공부하여 투자 기회를 잡으시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패션 의류 관련주 TOP5

물류 관련주 TOP5

ESS 관련주 TOP5

라이다 관련주 TOP5

 

주식바이킹 네이버 밴드 이미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