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관련주 및 대장주 5종목을 알아보겠습니다. 친환경 사업이 성장함에 따라 2차전지 사업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해당 기업들은 높은 투자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따라서 이번 글을 통해 2차전지 관련주의 실적과 성장 동향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LG에너지솔루션 (2차전지 대장주)
LG에너지솔루션은 1992년부터 리튬이온 전지 분야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EV, ESS IT 기기, 전동공구, LEV 등 다양한 사업 영역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배터리 시장을 위해 리튬이온전지 분야의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으로 EV(전기차)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소형 애플리케이션 배터리 등이 있습니다.
- 제품은 본사와 해외 제조 시설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판매는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반기 | 9.4조 원 | 4,544억 원 | 3,165억 원 |
2023년 반기 | 17.5조 원 | 1조 원 | 1조 원 |
- 2023년 6월까지 총매출은 17.5조 원으로 전년 대비 86.1% 상승했습니다.
- 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무려 140.7% 상승했으며, 순이익 또한 224% 증가했습니다.
- 전체적으로 2023년 반기에 LG에너지솔루션은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급격한 증가는 회사의 경영 효율성과 수익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2차전지 대장주로 분류된 이유
LG에너지솔루션이 2차전지 대장주로 분류된 이유는 운영하는 사업영역이 주로 리튬이온 전지 및 관련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재무제표를 보더라도 이러한 역량으로 매출과 이익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세계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성장하고 있습니다.
-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이온전지 시장에서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 삼성SDI (2차전지 관련주)
삼성SDI는 에너지와 전자재료 두 가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중대형부터 소형까지 다양한 리튬이온 2차전지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자재료 부문에서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삼성SDI의 소형전지는 스마트폰부터 전동공구, 자동차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반도체 소재는 앞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기업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삼성SDI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반기 | 8.7조 원 | 7,513억 원 | 7,718억 원 |
2023년 반기 | 11조 원 | 8,255억 원 | 9,503억 원 |
- 2023년 6월까지 총매출액은 11조 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습니다.
- 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23% 증가했으며, 순이익 또한 34% 증가했습니다.
-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년 대비 상승했습니다. 이는 회사의 사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앞으로 에너지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삼성SDI의 매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러한 매출 및 순이익의 성장은 전기차의 주행거리 개선, 정부의 환경 정책,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강화, ESS용 대형 전지의 성장 등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삼성SDI가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는 해당 기업이 리튬이온 2차전지 생산, 자동차용 전지, ESS용 전지, 소형 전지 등 2차전지와 관련된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기 때문입니다.
- 삼성SDI는 해당 분야에서 높은 성장률 또한 보여주고 있습니다.
3. 에코프로비엠 (2차전지 관련주)
에코프로비엠은 리튬이온전지의 핵심 구성요소인 양극재와 음극재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에코프로비엠의 제품이 전기차 플래그십 모델에 적용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 2023년 상반기에 3.9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업계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 에코프로비엠은 전동공구와 전기차 등 다양한 시장에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반기 | 1.8조 원 | 1,439억 원 | 1,081억 원 |
2023년 반기 | 3.9조 원 | 2,220억 원 | 1,628억 원 |
- 2023년 6월까지 총매출액은 3.9조 원으로 전년 대비 110% 상승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54%, 순이익은 50% 전년 대비 상승했습니다.
- 총체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큰 폭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커지고 있음에 따라 에코프로비엠 또한 큰 수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앞으로도 시장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일 경우 큰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에코프로비엠이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에코프로비엠은 리튬이온전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양극활물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이러한 제품은 전기차, 전동공구 등 다양한 장비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에코프로비엠이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되는 것은 타당해 보입니다.
- 에코프로비엠의 양극활물질은 전기차 주행 거리를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 에코프로비엠의 제품은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등 다양한 배터리 형태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4. SK이노베이션 (2차전지 관련주)
SK이노베이션은 에너지 부문과 소재 분야를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에너지 사업에서는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필요한 고에너지밀도 배터리를 세계적으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또한 2025년까지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소재 사업에는 2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분리막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SK이노베이션은 석유, 화학, 윤활유, 배터리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반기 | 36.1조 원 | 3.9조 원 | 2.2조 원 |
2023년 반기 | 37.8조 원 | 2,681억 원 | -1,723억 원 |
- 2023년 6월까지 총매출액은 37.8조 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3%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하락은 경제 둔화 우려에 따른 유가 하락이 크게 작용한 것 같습니다.
- 석유 사업이 힘든 와중에도 배터리 사업은 전년 대비 12% 증가하여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이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SK이노베이션은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유럽, 중국 등 전 세계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따라서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되는 것은 당연해 보입니다.
-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은 2023년 상반기 기준 매출 7.1조 원을 기록했으며 전체 매출의 18%를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5. 코스모신소재 (2차전지 관련주)
코스모신소재는 EV(전기차)와 배터리의 소재인 양극활물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전체 매출의 85%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 복사기나 프린터에 활용되는 토너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의 3.2%를 차지합니다.
- MLCC 제조에 활용되는 이형 필름도 생산하며 매출의 11.6%를 차지합니다.
- 이형 필름 부문은 2022년 하반기에 경기 둔화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2023년부터 수요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스모신소재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반기 | 2,099억 원 | 191억 원 | 152억 원 |
2023년 반기 | 3,866억 원 | 163억 원 | 85억 원 |
- 2023년 6월까지 총매출액은 3,8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84%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높아진 원가 및 판매 관리비로 인해 약 15% 감소했습니다.
- 순이익 또한 약 44% 감소한 실적입니다.
- 이는 경기 둔화와 높아진 원가, 중국의 영향으로 인한 필름 사업 저조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 전문가들은 앞으로 금리 인하, 경기 회복 등 하반기에는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코스모신소재가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코스모스신소재는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배터리 소재를 중점으로 뒀지만, 2018년 이후부터는 EV(전기차)와 ESS용 배터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스모신소재는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 앞으로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글로벌 수요가 증가함에 있어 코스모신소재 기업의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 2차전지 관련주와 대장주 총 5종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차전지는 앞으로 인류를 책임질 아주 중요한 기술입니다. 따라서 해당 기업들을 유심히 살펴보시고 장기투자를 진행하신다면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아직 전 세계 전기차 점유율은 이제 10%를 넘긴 상황입니다.
즉, 전기차 시장은 잠재 성장률이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전기차 시장과 함께 성장하는 산업이 바로 2차전지 산업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식 투자에 있어 전기차, 2차전지 등의 투자는 필수 요소로 보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