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라고 불리며, 가장 뛰어난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따라서 TV나 모니터에 적용되고 있죠. 이런 OLED는 변형이 자유롭고 뛰어난 색 재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OLED와 관련된 기업을 알아볼까요?
1. LG디스플레이 (OLED 대장주)
LG디스플레이는 OLED와 TFT-LCD 등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미국과 독일, 일본, 대만, 중국, 싱가포르 등 다양한 지역에 판매 법인을 운영하며 고객 지원에 힘쓰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 TV, IT, 모바일 및 기타 등이 있으며, 상위 10개 고객사로부터 매출의 약 86%를 차지하고 있죠.
- LG디스플레이는 매출액의 13%를 연구개발비에 투자하여 신제품과 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OLED 대장주인 이유
LG디스플레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OLED 전문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IT용 OLED 패널 공급을 위한 투자에 집중한다고 밝힌 바 있죠.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OLED 기술을 인정받은 기업입니다. TV는 LG라는 말이 생길 정도니까요. 따라서 시장은 LG디스플레이를 OLED 대장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18.8조 원 | -1.2조 원 | -1.1조 원 |
2023년 3분기 | 13.9조 원 | -2.6조 원 | -2.6조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3.9조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6%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119%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139%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악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2. 야스 (OLED 관련주)
야스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증착 장비를 제조하고 연구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8세대 이상 증착기 및 증착원을 비롯한 시스템은 우수한 품질과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현재는 Fab1, Fab2, Fab3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Fab4 공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야스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입니다.
- 야스는 중국이 주요 수출국이며, LG디스플레이와 BOE 등이 매출 거래처입니다.
야스가 OLED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야스는 8세대 증착기를 2011년에 개발했으며, LG디스플레이 기업의 대형 OLED 라인에 증착기를 공급하고 있는데요. 따라서 OLED 시장이 성장하면 야스 또한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은 야스를 OLED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야스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436억 원 | -32억 원 | 9.5억 원 |
2023년 3분기 | 270억 원 | -81억 원 | -55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7.8%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150%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악화하였습니다.
3. 선익시스템 (OLED 관련주)
선익시스템은 연구 개발에 필요한 OLED 증착 설비와 차세대 IT OLED 증착 설비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해당 기술을 통해 OLED 디스플레이 핵심 장비들을 국산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죠. 또한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전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메타버스와 스마트 제조를 선도하기 위해 연구 개발을 꾸준히 진행하는 기업입니다.
- 선익시스템은 300mm 웨이퍼 양산 장비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입니다.
선익시스템이 OLED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최근 미국의 대형 기업 애플이 선익시스템의 8세대 OLED 증착기에 대한 사용 허가를 내주었는데요. 따라서 선익시스템의 장비가 공급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은 선익시스템을 OLED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선익시스템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371억 원 | -21억 원 | -251억 원 |
2023년 3분기 | 406억 원 | -74억 원 | -174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4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9.5%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248%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30% 증가했습니다.
- 기업의 매출과 순이익은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4. 인베니아 (OLED 관련주)
인베니아는 TFT-LCD와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를 개발 및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패널 제조 장비 개발에 주력하며, DryEtcher 식각장비를 시작으로 합착기, 진공 물류시스템, AOI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용 부품의 판매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죠.
- 인베니아와 자회사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산업의 핵심 부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베니아가 OLED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인베니아는 중국 기업과 200억 원 규모의 디스플레이 장비 이전 및 설치 용역을 받은 바 있는데요. 이처럼 인베니아는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OLED와 LCD 디스플레이 장비를 개발 및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은 인베니아를 OLED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죠.
- 인베니아는 LG그룹의 친인척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베니아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538억 원 | -73억 원 | -105억 원 |
2023년 3분기 | 66억 원 | -140억 원 | -125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87%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91%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19%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악화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 덕산네오룩스 (OLED 테마주)
덕산네오룩스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핵심인 OLED 유기 재료 생산에 주력하는 기업입니다. OLED는 유기 화합물을 통해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자체 발광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죠. 따라서 덕산네오룩스의 제품은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발하는 발광층과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전자수송층, 정공수송층 등을 핵심 요소로 포함하고 있죠.
- 덕산네오룩스는 최근 비발광 소재인 Black PDL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습니다.
덕산네오룩스가 OLED 테마주로 분류된 이유
덕산네오룩스는 삼성디스플레이의 협력사로 알려져 있는데요. 또한 OLED의 유기 재료를 생산하기 때문에 OLED 패널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 함께 수혜를 받는 기업입니다. 따라서 시장은 덕산네오룩스를 OLED 테마주로 분류하고 있죠.
덕산네오룩스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1,280억 원 | 347억 원 | 330억 원 |
2023년 3분기 | 1,182억 원 | 212억 원 | 264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182억 원으로 저년 대비 약 7.6%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39%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19.9%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OLED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 미국의 애플과 메타가 VR/AR 시장에 진출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중요도는 더욱 증가할 것 같은데요. 따라서 우리 투자자들은 미리 OLED와 관련된 기업을 공부하여 투자 기회를 잡으시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