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M 관련주 및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겠습니다. PIM은 반도체 내부에 연산기와 메모리가 함께 적용되어 있는데요. 이에 따라 PIM은 차세대 반도체로 큰 주목을 받고 있죠. 그럼, 이러한 PIM 반도체와 관련 있는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요? 아래에서 관련 기업 5종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매커스 (PIM 대장주)
매커스는 고급 비메모리 반도체를 중점으로 FPGA 및 아날로그 반도체를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또한 자회사를 통해 투자, 스토리지 및 서버 유통, 기술 유지보수 서비스 등도 제공하고 있죠. 이러한 매커스의 주요 제품으로는 AMD, RENESAS, MACOM, PURE STORAGE 등이 있습니다.
- 매커스는 다양한 사업을 통해 견고한 매출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커스가 PIM 대장주로 분류된 이유
삼성전자와 AMD 기업이 PIM 개발에 주력을 다 하고 있는데요. AMD가 인수한 자일링스는 국내 유일하게 매커스와 파트너사를 맺고 있죠. 따라서 시장은 매커스를 PIM 대장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PIM 반도체는 AI 대규모 연산에 활용도가 높은 기술입니다.
매커스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1,449억 원 | 252억 원 | 170억 원 |
2023년 3분기 | 1,415억 원 | 222억 원 | 176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41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4%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1.6%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3% 증가했습니다.
-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삼성전자 (PIM 관련주)
삼성전자는 우리나라 대표 기업으로 많은 분들이 투자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이런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 233개의 자회사가 존재하죠. 사업은 크게 DX와 DS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DX 부문에서는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DS 부문은 DRAM, NAND Flash, 모바일 AP 등의 부품을 제작하고 있죠.
- 2021년에는 CE 부문과 DX 부문을 통합하고, 무선사업부를 MX 사업부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삼성전자가 PIM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삼성전자는 PIM 기술을 DRAM에 세계 최초로 적용하여 판매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삼성전자가 PIM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죠. 앞으로 AI 시장이 커지면서 삼성전자의 PIM 반도체는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삼성전자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231조 원 | 39조 원 | 31조 원 |
2023년 3분기 | 191조 원 | 3.7조 원 | 9.1조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191조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7.5%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0%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71% 감소했습니다.
- 전체적인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제주반도체 (PIM 관련주)
제주반도체는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모바일용 메모리 반도체를 설계하여 이를 파운드리 기업에 위탁 생산하고 있죠. 즉, 제주반도체는 팹리스 기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SRAM의 개발을 통해 사업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현재는 DRAM과 Nand Flash 메모리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죠.
- 제주반도체는 Nand MCP와 Nor MCP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제주반도체가 PIM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
제주반도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지능형 메모리 PIM 디바이스 개발 과제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제주반도체는 PIM 반도체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따라서 시장은 제주반도체를 PIM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제주반도체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1,342억 원 | 295억 원 | 336억 원 |
2023년 3분기 | 1,114억 원 | 137억 원 | 167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1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7%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8%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50% 감소했습니다.
- 기업의 전체적인 매출과 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 피에스케이 (PIM 관련주)
피에스케이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부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본사는 화성시 동탄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일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죠. 해당 사업은 반도체 장비의 제조와 관련 부품 판매, 기술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또한 피에스케이는 국내 법인을 포함하여 해외에도 5개의 법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해외 법인은 미국, 대만, 중국, 일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피에스케이가 PIM 관련주인 이유
피에스케이는 PIM 반도체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따라서 PIM 반도체와 AI 시장이 성장하면 피에스케이 또한 같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은 피에스케이를 PIM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피에스케이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3,700억 원 | 918억 원 | 773억 원 |
2023년 3분기 | 2,431억 원 | 381억 원 | 335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2,431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34% 감소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58%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56% 감소했습니다.
- 기업의 이익과 매출이 전년 대비 악화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 KTis (PIM 테마주)
KTis는 주로 위수탁 사업, KT고객센터와 114 번호 안내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고 서비스 상품 판매 사업도 운영하고 있죠. 광고 서비스 상품 판매 사업은 우선 번호안내가 핵심이며, 이는 지역 기반광고 서비스의 일환입니다. 더불어 디지털커머스와 디지털 광고 사업도 새롭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KTis가 PIM 테마주로 분류된 이유
앞서 사업 내용을 보았을 때 PIM 반도체와 거리가 멀어 보이는데요. 그럼, 왜 KTis가 PIM 테마주로 분류된 것일까요? 그건 바로 KT에서 개발하고 있는 믿음이라는 인공지능에 PIM 반도체를 적용할 계획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시장은 KTis와 PIM 반도체를 연관 지어 보고 있습니다.
KTis의 매출 및 실적
년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
2022년 3분기 | 3,966억 원 | 179억 원 | 146억 원 |
2023년 3분기 | 4,326억 원 | 161억 원 | 116억 원 |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총 4,3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9% 증가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9.6% 감소했으며, 순이익 또한 20% 감소했습니다.
- 기업의 매출은 증가했지만, 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PIM 관련주와 대장주, 테마주를 알아보았습니다. PIM 반도체는 앞으로 AI 분야에서 정말 중요한 부품으로 적용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반도체 부품의 개발은 AI 기술 개발에 한층 가속도를 붙여주는 것 같습니다. 우리 투자자들은 미리 PIM 반도체와 관련된 기업을 공부하여 투자 기회를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